관공서와 공공기관의 차이
★ 공공기관이 관공서를 포함한 넓은 의미라는 점. 알고가자.
=====================================================================
관공서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0069&mobile&categoryId=200000244
(중략-)
관청과 공서(公署)를 뜻하는 명사로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을 부르는 말이다.
(-중략)
[네이버 지식백과] 관공서 [government office, 官公署] (두산백과)
공공기관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493&docId=659444&mobile&categoryId=493
(중략-)
공공기관이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를 수행하는 이른바 관공서는 물론 공기업·준정부기관(→준정부조직)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서의 공공기관이라 하면, 정부의 투자·출자 또는 정부의 재정지원 등으로 설립·운영되는 기관으로서 '공공기관의운영에관한법률'[제4조1항 각호]의 요건에 해당하여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정한 기관을 가리킨다.
(-중략)
[네이버 지식백과] 공공기관 [公共機關, public institution]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2010.11.23, 새정보미디어)
==========================================================================
챗gpt로 검색 정리(24. 8. 2 업데이트)
관공서와 공공기관은 둘 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조직이지만, 그 성격과 역할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관공서
관공서는 정부의 행정기관으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업무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등의 중앙정부 부처와 시청, 구청 등의 지방정부 기관이 이에 해당합니다. 관공서는 법률에 따라 공무원이 근무하며, 주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공공기관
공공기관은 정부가 설립하거나 지원하는 기관으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활동합니다.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이 공공기관입니다. 공공기관은 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정부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자주 기업 형태로 운영되기도 합니다.
주요 차이점
- 설립 목적: 관공서는 주로 정책 수립과 집행을 목적으로 하지만, 공공기관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 조직 형태: 관공서는 정부의 일부로서 공무원들이 근무하며, 공공기관은 공기업이나 비영리법인의 형태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 재원 조달: 관공서는 주로 세금으로 운영되지만, 공공기관은 수익 활동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관공서와 공공기관은 각각의 역할과 목적에 따라 다른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