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4 인플레이션에 대한 관심 및 정리 부자 공부를 시작하면서 많이 듣게 되는 단어가 인플레이션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하는 것 같은데 처음에는 경제 상황과 연관관계를 몰랐습니다. 인플레이션의 단어의 뜻만으로는 내게 와닿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내 나름대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경제를 구성하는 주인공들 (개인-기업-국가)가 있습니다. 이 세 가지의 주인공을 놓고 인플레이션을 적용해 봅니다. (개인) 1. 개인은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오르니 지출되는 돈이 많아져 힘들어집니다. 2. 물건을 살때도, 식사를 할때도, 커피를 마실때도, 술한잔 할때도 전보다 돈이 많이 들어갑니다. 3. 월급은 오르지 않고, 연봉협상은 1년에 한번하면 조금씩 오르는 데 돈은 더 많이 나갑니다. 4. 내가 받는 월급이 예전보다 적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기업.. 2022. 10. 7. [경제 기초 공부] 금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지금 금리를 기초로 금융 공부를 시작했다. 저번 글에 미국 금리가 오르면 돈이 한국에서 미국으로 빠져 나간다고 했다. 왜? 알고 있는 사람들이야 원리를 안다고 하지만 나는 이부분에 대해 전혀 무지하다. 그래서 왜? 라는 질문을 던질 수 밖에 없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복잡해진다. 전에도 이렇게 복잡한 관계때문에 포기를 했었는데, 이번에는 나 나름대로 정리를 꼭 해보고 가려고 한다. 먼저 정리할 것들이 많지만 궁금증이 생기는 것이 금리와 경제와의 관계이다. 나에게 경제는 수중에 있는 돈이다. 돈이 많으면 좋고, 적으면 힘들다. 금리가 나에게 돈을 주느냐? 아니면 돈을 뺏어가느냐 라는 관점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전에도 공부했지만 나에게 부동산 대출이 있다면 금리가 상승하면 나에게 돈을 빼앗아 간다. 대출이자.. 2018. 11. 5. 경제 공부 어떻게 할까? 미네르바 마지막 글에서 발췌한 좋은 정보 http://scieng.net/sisatoron/43569 1. 한국에서 살아남는 방법? 사람이라는건 누구나 사물이나 사회현상을 바라 보는 관점이라는 것이 존재 한다.. 즉 A 라는 사물을 보고 B 라는 관점이나 C 라는 관점으로 다 갈라지듯이 보는 시각이 다 틀린 것이 이런 해석적 관점의 차이라는 것이다. 다만 한국에서 왜 침묵이 금이어야 하냐 하면 한국이라는 획일성 강한 나라에서는 타인과 이타적인 관점을 말하면 말 그대로 동일 그룹에서 또. 라이 취급 받기 쉽상이다. 그럼... 말해 봐야 손해를 보는데 뭐하러 말해?.......입 닫고 나만 준비 해서 살아 남으면 되지?.... 나 자신의 생존은 내가 지켜야 한다... 캐네디가 말했지... 국가가 뭘 해주기 .. 2018. 10. 7. <수집> 경제 관련 논객 xrith 원문보기 2010. 1. 12. 이전 1 다음 반응형